查看原文
其他

[힐링] 연초 결심 그대로? 흔들렸다면 다시 시작!' / 술 한두 잔은 약주라고?...헛!

2015-02-21 潮歌网



설 연휴 동안 새해 한 달 반의 생활을 점검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다시금 마음을 다잡고 재정비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미국의 생활전문지 라이프해커에 따르면 연초 활활 불타올랐던 의욕이 사그라졌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멀티태스킹에 대한 과욕으로 탈진= 여러 일을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에 자신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사실상 우리 중 그 어떤 누구도 다양한 일을 동시에 잘 해내지는 못한다.

숨을 쉬고 심장이 뛰고 혈류가 흐르고 침이 분비되는 것처럼 자율신경은 동시에 한꺼번에 일어난다. 하지만 사람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수의적 운동은 동시다발적으로 행하기 어렵다. 한손은 위아래로 다른 한손은 좌우로 움직이는 것처럼 단순한 동작조차도 쉽지 않다.

사실상 멀티태스킹을 한다는 의미는 여러 일을 동시에 한다기보다 한 가지 일을 하다가 재빨리 다른 일로 옮겨가고 또 다시 다른 일로 이동하는 반복이라고 봐야 한다. 물론 이처럼 여러 일을 재빨리 전환해야 할 때도 있다. 가령 운전을 할 때는 여러 차선을 동시에 봐야 하고 신호도 확인하고 표지판도 체크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업무를 할 때는 한 가지에 집중하는 편이 보다 효과적일 때가 많다.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해도 문제가 없는지 판단해보고, 일의 우선순위를 정해 하나씩 집중적으로 해나가는 것이 좋다.

완벽한 스케줄을 따르려는 욕심= 일을 하려면 어느 정도 계획을 세우고 스케줄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이 계획표를 따르듯 하루 일과를 정돈된 스케줄에 꼭 맞출 필요는 없다. 오히려 융통성 있게 스케줄을 조절해야 보다 효율적인 업무가 가능하다.

가령 월수금은 유산소운동, 화목은 근력운동을 하겠다고 결심했어도 그날의 컨디션이나 상황에 따라 운동 방식이 바뀔 수 있다. 화요일에 근력운동을 못했다고 해서 스스로를 의지가 부족한 사람으로 단정 지으면 안 된다.

단 일주일 정도로 단위를 끊어 그 기간 안에는 실천하는 것이 좋다. 화요일에 근력운동을 못했다면 돌아오는 주말에 근력운동을 하는 식이다. 하루 단위로는 계획을 지키지 못하더라도 한주나 열흘 간격 정도로는 계획했던 일을 실천해야 목표에 보다 가까워진다.

수면시간에 대한 강박증= 매일 7시간씩 자야 한다는 강박증을 가질 필요는 없다. 매일 같은 시간에 잠들고,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생활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단 장기적인 수면 부족은 일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건강에도 지장을 주므로 평균적으로는 적정한 수면 시간을 지키는 것이 좋다.

낮잠도 좋은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비결이다. 주의력, 집중력, 에너지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는 10~20분 정도의 짧은 수면은 에너지를 북돋우는데 도움이 되고, 90분 정도의 긴 낮잠은 창의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아침 기상 시간이 몇 시인지, 하루 노동 강도가 어땠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합한 낮잠 시간은 달라진다. 커피와 낮잠을 함께 활용하는 것도 잠을 깨우는 좋은 전략이다. 낮잠을 자기 직전에 커피를 마신 뒤 잠을 자면 좀 더 개운한 기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술 한두 잔은 약주?...' 뇌졸중 위험 34%높여

[앵커]
'하루에 술 한두 잔은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 많이들 들어 보셨죠?

그런데 이 정도의 술도 매일 마시면 뇌졸중의 위험을 30% 이상 크게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김잔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랫만에 모인 좋은 사람들과의 식사자리에 술은 빠지지 않습니다.

[인터뷰:한대흠, 서울 암사동]
"술 마시면 좀 편해지니깐. 남자들끼리 밋밋하잖아요, 술 없이 이야기하기도 좀 그렇고…."

하루 한두 잔은 오히려 약이 된다는 이야기도 많이 합니다.

[인터뷰:김주식, 성남시 정자동]
"와인 한두 잔은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한두 잔 정도는 큰 무리는 없지 않을까요?"

그런데 이처럼 술 두 잔을 매일 마시면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체코의 한 대학에서 스웨덴 쌍둥이 만 2천 명을 대상으로 43년 동안 연구했더니 남성은 2잔, 여성은 한 잔을 매일 마시면 술을 거의 안 마시는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34%나 높았습니다.

맥주, 와인, 칵테일 등 술 종류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또, 75살 이전에는 흔히 뇌졸중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고혈압이나 당뇨보다 과음이 더욱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루 2잔 이상을 매일 마시는 과음군은 뇌졸중 발생 시기도 최대 5년까지 빨랐습니다.

오랜기간 과음은 동맥경화를 악화시켜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게 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방오영,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과음하면) 혈관 벽이 약해져서 뇌의 출혈을 잘 일으키게 되고 우리가 음주환자의 뇌 MRI를 보면 뇌 안에 미세출혈이 많이 증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과음뿐 아니라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 누적, 불면증, 감염도 뇌졸중의 촉발 요인이 될 수 있어 피하는 게 좋습니다.

갑자기 말이 어눌하게 나오거나 한 쪽 팔다리, 또는 얼굴이 뻣뻣하고 마비 증세가 생기면 뇌졸중을 의심하고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YTN

--------------------------------------------------------------

조글로 微信전화번호 13180738433을 귀하의 핸드폰에 추가하시면 실시간 뉴스와 알찬 정보를 선정하여 무료로 보내드립니다~(지금 이 화면번호를 누르면 복사됩니다)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