查看原文
其他

网上展ㅣ70년 료녕성조선족 사진전(1)

오늘부터 본 위챗계정은 70년 료녕성조선족 사진을 전시합니다. 사진전과 관련된 12개 퀴즈를 준비하였습니다. 오늘 발송 내용에서 찾아보세요.



량세봉(1894-1934)


1917년 항일운동에 참가。


참의부 소대장, 정의부 중대장, 조선혁명군 총사령 등을 력임.


1931년 '9.18'사변후 료녕민중자위군 당취오 총사령, 동북항일련군 양정우 장군과 리홍광 사장, 료녕농민자위군 량희부 등과 련합해 무장투쟁.


1934년 9월 19일 신빈현 향수하 소황구에서 일본 특무에에게 피살.



양림(1898-1936)


1924년 운남강무당 졸업.


1925년 황포군관학교 교관, 중국공산당 가입.


1930년 6월 중공만주성위 군사위원회 서기.


1933년 중화쏘베트공화국 림시중앙정부 총동원무장부 참모장.


1934년 10월 홍색간부단 참모장, 당중앙 령도들의 안전 보위.


1936년 1월 홍 15군단 75사 참모장.


1936년 2월 황하 건너는 작전에서 희생.



한락연(1898-1947)


본명 한광욱.


1923년 중국공산당에 가입, 중국 첫 조선족당원.


1924년 심양에서 당조직 건립, 심양지부 창시인중 한 사람.


1931년 파리룰포예술학원 입학, 미술 전공.


1937년 귀국후 항일투쟁 참가.


1945년 10월 돈황 막고굴 천불동 벽화 국내 최초로 모사.


1947년 비행기 조난사고로 사망.



리동광(1904-1937)


1932년 리홍광과 함께 반석공농의용군 설립.


1934년 남만 림시특위서기 겸 선전부장.


1936년 중궁남만성위 위원 겸 조직부장, 양정우를 협조해 중대 군사행동 계획을 제정하고 전투를 지휘.


1937년 7월 신빈현 영령 홍토에서 희생.



리추악(1901-1936)


본명 김금주, 일명 장일지.


1924년 중국혁명 참가.


1925년 중국공산당 가입, 황포군관학교 학습.


1927년 쏘련 류학.


1930년 중공만주성위 부녀사업 담당.


1932년 주하현위 부녀부장, 철북구위 서기.


1936년 8월 27일 일본 특무에 의해 체포.


1936년 11월 통하현에서 총살당함.



리홍광(1910-1935)


본명 리홍해, 일명 리의산.


1932년 반석공농의용군 설립.


1933년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독립사 참모장.


1934년 동북인민혁명군 제1군 1사 사장 겸 정치위원.


1935년 5월 12일, 신빈현 로령구에서 희생.


일찍 모택동은 "동북에 저명한 항일의용군 장령 양정우, 조상지, 리홍광이 있다"고 말함.



정률성(1914-1976)


인민음악가.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 <연안송>, <팔로군대합창> 및 가극 <망부운>, <조선인민군진행곡> 등 수백수 노래 창작.


1976년 12월 7일 뇌일혈로 사망.


섭이, 승성해 이후 나타난 걸출한 작곡가이다. 


'군가의 대부'로 평가되며 중국 무산계급 혁명음악 사업의 개척자중 한 사람.



변용수


리홍광지대 정찰영웅.



박금화(1917-1993)


둥북인민혁명군 제2군 1사 제1단 지방부녀회장.



·  Y  ·  Y  ·  시  ·  선  ·


1 심양조선문서점


2 추억과 情의 맛- 금룡소고기면


3 심양시조선족대학생련합회


4 심양시내 조선족유치원들


5 올 여름 끝자락, 이곳이 빠지면 섭하죠~


6 Happy chuseok! 풍성한 한가위 보내세요







큐알코드 꾸~욱 눌러

료녕신문 위챗뉴스 关注해주세요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