查看原文
其他

[문학닷컴] (수필) 불금의 횡설수설 (궁금이)

潮歌网 2020-09-15

The following article is from 中国朝鲜语广播CNR Author 중국조선어방송넷


 

 조글로   

       이슈 단체 인물 비즈 문학 력사  

제보광고검색pc버전| 건강|노래珍藏版|web



궁금이 수필세계14


불금의 횡설수설


글 | 궁금이 · 방송 | 김홍화




        

    요즘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우기에 접어들었다. 북경에도 비가 자주 내리면서 아침에 집을 나서면 공기가 청신하여 기분이 한결 상쾌하다. 이렇게 북경에서 내리면 한여름의 더위를 식혀주는 단비지만 장마로 고생하는 지역에서 쏟아지는 비는 사람들에게 많은 불편을 가져다 준다. 오직 내가 시원하겠다고 비를 고맙게 생각하면서도 장마에 애로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례의가 아니라는 생각도 동시에 하게 된다. 나의 편안함은 누군가의 불편함을 대가로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불금이다. 


    련인들은 싸우고 나면 누가 먼저 전화를 하냐가 커다란 과제다.


    먼저 하자니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고 참자니 속만 타들어간다. 그래서 화장실에 잠깐 가더라도 혹시 모르니까 휴대전화를 들고 들어가고 스팸 전화가 한번 울려도 번개같이 받는다. 기다렸던 만큼 번마다 허무함과 실망도 크다. 그렇게 속을 태울 거면 자존심이 밥을 주는 것도 아니고 그냥 먼저 하면 되겠건만 이 참에 버릇을 떼겠다는 각오도 있고 어디 한번 속을 태워보라는 의도도 있다. 그런데 너무 튕기면 부러지는 게 문제다. 그래서 할수없이 아쉬운쪽이 먼저 하게 된다. 애초에 뜸을 들이지 말고 금방 했더라면 그 사이 서로가 애태우는 시간도 없었으련만.

 

    아쉬운 쪽 혹은 참을성이 약한 쪽에서 먼저 하게 되면 상대방은 발신자번호를 여유있게 들여다 보며 웃음주머니가 흔들거린다. 고향말로 하면 “제 되오?” 이렇다. 이쯤되면 속으로는 기뻐서 죽겠더라도 전화기를 받는 순간에는 절대 티를 내면 안된다. 조금전까지 폴짝폴짝 뛰며 좋아 야단이였는데 수신버튼을 누르는 순간 세상 근엄하다.


    “왜?”


    목소리를 최대한 깔고 최고 심드렁하게 전화를 받는다. 그러게 되면 어떻게 용기를 내 한 전화인데 이 인간이 이따위 태도냐며 저쪽에서는 속이 부글부글 끓는다. 하지만 이미 전화도 했을라니 이 정도의 차가움은 감수해야 한다. 


    “뭐해?”

    “아무것도 안 해”

    “먼저 전화하면 어디 덧나나?”

    “하려고 하는데 왔네...”


    이건 그런대로 괜찮은 결과다. 이쯤 되면 화해는 시간문제다. 그런데 생활은 단일본이 아니다. 


    “뭐해?”

    “무슨 상관인데”

    “...”


    아무리 용기를 내서 한 전화지만 상대가 저렇게 나왔는데도 전화를 끊지 않을 보살은 없다. 그렇다고 완전히 끝난 관계는 아니다. 리별을 결정했다면 아예 전화를 받지도 않았을 것이다. 거미줄 같은 취약한 련결선일지라도 일말의 정은 남아 있는 상태이다. 다만 장기전을 감안해야 하는 줄다리기가 앞으로 길게 남았다는 게 문제다. 이 과정에는 사내가 먼저 통크게 화해의 주동성을 보여야 한다는 비명문화된 인식의 페해가 크다. 이런 보편적인 통념하에 녀성들은 주동적이 되고 싶어도 망설여진다. 이른바 인정하면 지는 거라는 론리이다. 


    련인사이에만 있는 일이 아니다. 세상은 남자가 아니면 녀자인데 모든 일이 이 두 성별의 문제를 떠나서 론의될 수 없다. 역중천 작가에 따르면 현모량처란 말 자체가 녀성의 지위에 대한 불공정 대우라고 했다. 왜 남자에 한해서 현부량부라는 말은 없으면서 녀성에게만 현명한 엄마가 돼야 하고 현숙한 안해로 거듭나야 한다고 요구하냐는 반론이다. 이뿐이 아니다. 현재 녀성들이 술을 마시는데 대해서는 별다른 시선이 없지만 담배를 피우는데 대해서는 그렇게 자유롭지 못하다. 남자라고 페를 두개 갖고 있는 것도 아니면서 무슨 근거로 남자가 담배를 피우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고 녀성이 피우면 눈총을 받아야 할가. 고정관념의 갱신은 웬만한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게 왜 그렇게 돼야 하냐를 따지기 전에 이전부터 그렇게 내려왔으니 그런가 보다고 생각하는 게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전에도 그렇게 했는데...”


    이 말은 위해성이 많은 표현이다. 또한 무슨 착오가 생기면 쉽게 내들 수 있는 방어수단이기도 하다. 어제도 똑같은 방법으로 해서 아무 문제 없었는데 무슨 소리냐는 거다. 그런데 바로 그 “어제”라는데 치명적인 함정이 있다. 말 그대로 그 방법은 어제까지만 통했고 오늘은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거나 하기 싫어한다. 어제 일을 오늘 반복하고 오늘 일을 래일 되풀이하는 게 세상 편하기는 하다. 시대는 발전변화한다는 걸 인정하지 않을 사람은 없다. 그런데 그에 맞춰 자신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일에서는 많이 소홀하고 게으르다. 원래의 익숙한 방식이 편안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곧 후퇴라는 정도의 말은 누구나 하기 쉽다. 그런데 정작 내 몸에서 혁신이 일어나야 한다는 긴박감은 누구나 갖고 있는 게 아니다. 


    “왜 나만 갖고 그래?”


    이 말도 위험하기는 만만치 않다. 분명 잘못했다는 걸 알면서도 다른 사람도 똑같은 잘못을 하고 있는데 왜 나만 갖고 그러냐는 론리다. 사람은 자기에게 합리하고 유리한 쪽으로 다른 사람의 우결함을 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의 우점보다는 결함에 집착해 자기의 허점을 극소화하려 한다. 그런가 하면 내가 원하는 일이면서도 전면에 나서기는 싫고 다른 사람을 빌려서 남들도 저렇게 하고 있지 않냐며 자기 주장을 묘하게 돌려서 펴낸다. 결론적으로 일이 잘 되면 내 덕이고 못 되면 남의 탓이다.


    바뀌지 못하는 결정적인 원인은 자기 용서다. 불안하기는 하지만 부단히 자기 최면을 걸면서 현 상태가 나만의 삶의 방식이라고 애써 위안한다. 이런 위안과 방치가 하루이틀 한달두달이 쌓이면서 천천히 가열되는 물에서 익어가는 개구리가 되여간다. 


    썩는 상처는 빨리 도려낼수록 좋다.


궁금이

youshengxiangban@126.com

궁금이 수필세계

 (수필12) 남의 일을 하며 산 인생 (궁금이)

(수필11) 6월의 마지막 밤 (궁금이)

 (수필10) 고비 

 (수필9) 낡은 방법의 큰 지혜 

 (수필8) 하늘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수필7) 래일이 기다려지는 오늘 

 (수필6) 녀자의 실수

 (수필5) 갚을 수 없는 빚

 (수필4) 조상들이 원하는 것은

 (수필3) 주어와 술어는 가까워야 한다

 (수필2) 집이 두 채인 엄마

 (수필1) 나의 살던 고향은

 궁금이님의 책 읽기:큐알코드를 스캔하면 구독할수 있습니다.

 제공: 중국조선어방송넷  

   *본문은 작가 개인의 견해일뿐 중국조선어방송넷 위챗 계정의 견해나 립장을 대표하지 않습니다. 

 



 안내 : "문학작품"은 sinbalam과 위챗친구하여 보내주시면 등재해드립니다.-신바람


최신 작가와 작품

2020년 최신 작품
[문학닷컴] 박장길 자선 시(7) 소나무 뿌리(외7수)
[문학닷컴] (수필) 내 마음의 계절 날씨 (류재순)
[현춘산] 3.신단수,조선민족의 세계수
[실화] 챔피언 1965 (16) 원자탄/불청객(수기) 47살 나를 "아매"라니...(박순자)[우리민속] 조선족 가족관계,잘 알고 있으세요?(박승권)[영상수필] 김훈 "인정이 그리운 날"(김계월 랑송)
[김호웅 칼럼] "우리 말 굳이 배워야 하나",말이 되나?[문학닷컴] 김재현 시 "어머니 생각" (외4수)
(수필) 민낯 (궁금이) 문학작품 더 보기(请点击) 

2020년 작가
칼럼박승권김호웅리성일김혁채영춘리성일우상렬허명철박광성강효삼리성일장동일박광해최학송박승권김혁현춘산채영춘주소란|박광성|예동근|김범송김경애김문일김광림리동렬김정룡문학||박장길류재순박순자김훈김재현궁금이우상렬서가인김정권|현춘산|남룡해림장춘궁금이김창영허강일회령김정권최상운김훈지향옥림운호김병민손룡호렴광호리해란서가인신철국최화길손룡호허강일이문혁김학철김혁림원춘허미란박장길렴광호김재현김수영김두필김일량남영전현춘산서가인리문호리광인김혁한석윤|허미란김학송김호웅남룡해김정권김영분림운호장학규리련화한영철김경진김영택김병민김복순최상운회령채영춘김명숙류영자김춘실류재순려순희김홍남윤청남리동춘심명주최화김명순 [현춘산] 남영전토템시로 본 토템문화 3[허강일 추리소설] 도시는 알고있다18[허강일 추리소설] 흉수는 바로 그놈이였다력사[구술] 박장수 편 4[신철국 장편스포츠실화] 챔피언 1965 (16)[구술] 김학철(7)[珍藏版]리광인 '70년대 사람들'|[구술] 남영전(1) (2) (3) (4) (5) (6) 양림(구술)채영춘(10) 리광인 실화문학《아,나의 중학시절이여》(구술)림원춘(7) |특집[珍藏版] 우리말 어원 산책(렴광호)



조글로·潮歌网조선족 정보 총집합!



关注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