查看原文
其他

[현춘산] 남영전토템시로 본 토템문화 4.백학(흰 두루미) , 백의민족의 혼

조글로 潮歌网 2020-09-15

 조글로   

       이슈 단체 인물 비즈 문학 력사  

제보광고검색pc버전| 건강|노래珍藏版|web



[현춘산] 남영전토템시로 본 토템문화


4.백학(흰 두루미) , 백의민족의 혼

配图 孟狄鈃

남영전의 토템시


백학


남영전

 

결백한 백학의 넋은 백의혼이다

 

백의혼이여

천만년 깊이 묻힌 피비린 내음에 절고

천만년 검붉은 질식속에 몸부림치고

천만년 무거운 층암속을 뚫고 나오며

검은 삿갓,검정두루마기,검은 적삼 불살라버리고

천지간에 하얗게 다듬어진 넋

 

백의혼이여

신단수초리에서 회오리쳐

바다와 하늘 사이에 신비의 왕국 이어놓고

짐승이 덮쳐도

수리개 노려도

호랑이 따웅해도 겁내지 않고

큰물이 들이닥쳐도

모든 공포를 겁내지 않고

영원히 머리 번쩍 쳐들고

영원히 날개 나풀 퍼덕이며

영원히 추호의 비굴 모르는 자유의 넋

 

백의혼의 흰 깃털로 옷 지어입고

백의혼의 날랜 날음처럼 춤추고

백의혼의 억센 날개처럼 뼈를 굳히고

백의혼의 밝은 눈을 해와 달로 삼았기로

천지간에 백의혼이 출렁이네

 

백의혼 모였다 헤여지면서

백의혼 갔다가 돌아오면서

 

백의혼은

눈보라의 거친 벌도 달리고

폭풍우의 푸른 호수도 건너면서

부딪치는 쇠붙인 생뚱한 불꽃 튕겼고

엇섞이는 어화는 이채론 뭇별 반짝이여

동족상잔의 치욕 가시고

수리개의 발톱 경계했더라

설사 결백속의 붉은 피방울

백두의 얼음속에 스며든대도 애탄하진 않고

더욱더 많고많은 백의혼 낳아키웠네

 

백의혼은

강자를 약자로 알고

약자를 강자로 알고

비바람속에 가시덤불 우거진다 해도

아아한 벼랑이 암초로 침륜된다 해도

갈구에로 메운 화살 다시 접을수 없다니

창천이 부른다

황야가 부른다

백의혼이여

백의혼이여

백의혼이여

 

1987.4-5

------

 

洁白的鹤之洁白精魂为白衣魂

 

白衣魂

自千万年深藏的血腥味里腌渍

自千万年绀紫色窒息里挣脱

自千万年沉重的巉岩里崩裂

燃烧黑斗笠与黑长袍与黑槛衫

结晶成天地间白之又白

 

白衣魂

扶摇于神檀树梢

连接海之上天之下神秘之王国

不惧兽追之不惧鹰逐之不惧虎啸之

不惧洪水的拍云不惧旷野寂寥

一切该惧的均不惧

永远昂首行永远展翅飞

永远为不苟且的自由魂

 

取白衣魂之洁白翎羽为衣

取白衣魂之娴熟飞翔为舞

取白衣魂之一对硬翅为筋骨

取白衣魂之亮眸为日为月

天地间游荡着白衣魂

    游荡着白衣魂之聚集与飞散

    游荡着白衣魂之归去与归来

 

白衣魂

跋涉于雪封归程的蛮荒之原

漂浮于雨锁来路的碧蓝之湖

    金属之摩擦迸发陌生的璀璨

    渔火之交织撒出奇异的繁星

    消弭同类之争戾

    警戒鹰隼之利爪

即便洁白裹着的鲜红一滴滴流入

    白头之冰层,也从不哀鸣

然后再滋生出更多更多的白衣魂

 

白衣魂

视强者为弱者

视弱者为强者

任风风雨雨繁衍为野草

任巍巍山崖沉沦为海礁

指向渴求的箭簇不再装回皮囊

苍天呼之莽原唤之

    白衣魂

        白衣魂

              白衣魂

 

1987年4-5月



백설같은 두루미, 하얀 두루미.


목과 다리가 훤칠하게 생긴 흰 두루미가, 그 백학(白鹤)이 푸른 하늘을 가르며 높이 솟아오른다. 너울너울 춤추는 날개짓은 푸른 바다를 유유히 헤염치는 듯, 하늘하늘 창공에 뜬 모습은 흡사 어여쁜 천사의 모습이런 듯, 그 기품있고 정결하고 도고한 자세는 또한 얼마나 우아하고 아름다운가.

 

고대의 동이족(东夷族)은 각별히 조류를 숭배했었다.동이족의 조류숭배는 그가 처했던 자연지리적조건에서 비롯되였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태양이 솟는 동쪽나라, 첩첩 뭇산과 천리 림해와 만경창파를 안고 사시절이 분명한 자연지리적 조건에서 말이다.
 

일년치고 사시절이 바뀜에 따라 철새들이 날아오고 날아간다.

동이족의 천신(天神)숭배는 바로 태양숭배였다.그들은 하늘높이 비상(飞翔)하는 새들이 태양으로 날아갔다가 태양에서 대지로 돌아온다고 믿었다.그중 가장 높이 날아오르는 새가 백학이다.그래서 신선들이 하늘에 오를 때면 백학을 타고 오른다고 했다.
 

동이족은 태양의 밝은 빛을 흰 색으로 간주했다.그래서 태양이 비추는 낮을 "백천"(白天)이라고 불렀다. 태양이 비치는 "백천"과 백설 같이 흰 백학.

과연 우리 선조들의 시각으로 보는 백학은 어떤 새였을가.

태양숭배에서 비롯된 흰 색에 대한 숭상, 흰 색에 대한 숭상으로 옷도 흰 색만을 고집했던 백의민족(白衣民族).그 백의민족에게 있어서 백학은 과연 어떤 새였을가.
 

백학은 또한 성인(圣人)의 화신으로 되기도 한다. 옛날 고기붙이 아니면 식사를 못하는 모친을 위해 사냥을 하던 신효거사가 마땅한 사냥감이 없어 하늘높이 날아가는 다섯 마리의 학을 바라고 화살을 날린다. 그러자 그중의 학 한마리가 깃털 한대를 떨어뜨린다. 거사가 그 깃털을 눈에 대고 보니 사람들이 모두 짐승으로 보였다. 훗날 거사를 만난 오류성중(五类圣众)의 하나가 자기의 깃털을 돌려달라고 해서 그 깃털을 주니 떨어진 옷자락에 갖다대는데 그 깃털이 삼베쪼박으로 변하여 꼭 들어맞는 것이였다.

 

그 다섯 도사가 바로 신효거사가 활로 쏜 다섯마리의 학이였다. 백학은 그 도사들의 토템이였다. 토템과  인간의 호상전환을 보여준 사례다.

 

백학은 소나무, 사슴, 불로초 등과 마찬가지로 우리 민족 십장생(十长生)의 하나로 간주되였다. 백학은 천지간에 아름다운 것만 취하여 그 몸을 보양하고 사기(死气)가 없는 가운데 살므로 장수한다고 한다.
 

백학은 다른 조류에 비하여 높이 나는 새로서 비상과 높이를 상징하는 동물.

억센 날개로 하늘높이 나는 새, 풍운(风云)을 헤가르며 풍랑을 맞받아 하늘높이 날아오르는 새, 그는 피와 불의 세례속에서 신음하던 이 땅의 인간들에게 있어서 희망이였고 간난신고로 자기의  운명을 개척하던 백의민족의 귀감이였고 힘이 아니였을가.

시인 남영전의 토템시 "백학"은 백학의 성격을 백의민족의 혼으로 표현하고 있다.

 

백의 혼이여

천만년 깊이 묻힌 피비린 내음에 절고

천만년 검붉은 질식 속에 몸부림치고

천만년 무거운 층암 속을 뚫고 나오며

검은 삿갓 검은 두루마기 검은 적삼 불 살라 버리고

천지간에 하얗게 다듬어진 넋

 

백의 혼은 바로 이렇게 유구한 세월 험악한 환경과 엄혹한 시련 속에서 련마된 것이다.

이렇게 련마된 백의민족의 넋이였기에 "결백 속의 붉은 피방울/백두의 얼음 속에 스며든 데도 애탄하지 않고/더욱 더 많고 많은 백의 혼 낳아키웠"던 것이다!
 

남영전시인의 토템시에서 표현된 백학의 토템이미지는 광명과 자유와 행복을 위하여 풍랑을 헤쳐온 백의민족의 억센 투지와 생명력이며 백의민족의 깨끗한 지조와 굴함없는 령혼이다.(계속)


[현춘산] 남영전토템시로 본 토템문화


1. 달, 영구한 생명력의 상징

2. 곰, 우리 민족의 시조모

3. 신단수,조선민족의 세계수




 안내 : "문학작품"은 sinbalam과 위챗친구하여 보내주시면 등재해드립니다.-신바람


최신 작가와 작품

2020년 최신 작품
(회고) 정판룡 교수의 사랑 (김호웅)
[김정권씨에게 쬐꼼 건의] "불"은 "조심"하고 수놓았으면...(회령)
중국조선족 해내외 수상자 독창독주음악회 (박장수)챔피언 1965 (18) 영광의 서장

(수필) 불금의 횡설수설 (궁금이)[문학닷컴] 박장길 자선 시(7) 소나무 뿌리(외7수)(수필) 내 마음의 계절 날씨 (류재순)
[현춘산] 3.신단수,조선민족의 세계수 문학작품 더 보기(请点击) 

2020년 작가
칼럼박승권김호웅리성일김혁채영춘리성일우상렬허명철박광성강효삼리성일장동일박광해최학송박승권김혁현춘산채영춘주소란|박광성|예동근|김범송김경애김문일김광림리동렬김정룡문학김호웅회령궁굼이박장길류재순박순자김훈김재현우상렬서가인김정권|현춘산|남룡해림장춘궁금이김창영허강일회령김정권최상운김훈지향옥림운호김병민손룡호렴광호리해란서가인신철국최화길손룡호허강일이문혁김학철김혁림원춘허미란박장길렴광호김재현김수영김두필김일량남영전현춘산서가인리문호리광인김혁한석윤|허미란김학송김호웅남룡해김정권김영분림운호장학규리련화한영철김경진김영택김병민김복순최상운회령채영춘김명숙류영자김춘실류재순려순희김홍남윤청남리동춘심명주최화김명순 [현춘산] 남영전토템시로 본 토템문화 3[허강일 추리소설] 도시는 알고있다18[허강일 추리소설] 흉수는 바로 그놈이였다력사[구술] 박장수 편 5[신철국 장편스포츠실화] 챔피언 1965 (18)[구술] 김학철(7)[珍藏版]리광인 '70년대 사람들'|[구술] 남영전(1) (2) (3) (4) (5) (6) 양림(구술)채영춘(10) 리광인 실화문학《아,나의 중학시절이여》(구술)림원춘(7) |특집[珍藏版] 우리말 어원 산책(렴광호)




조글로·潮歌网조선족 정보 총집합!



关注
Modified on

    您可能也对以下帖子感兴趣

    文章有问题?点此查看未经处理的缓存